[9월 4주] 금투세 토론 후폭풍, 인텔과 보잉 위기, 진짜 '오징어 게임', 국민연금의 개인연금 운용, 항만 파업리스크

2024. 9. 27. 23:01·경제노트/주간 경제이슈
반응형

1% 대상자라던 금투세, 알고보니 10% 넘는다

같은날 열린 체육회 관련 현안질의에 묻혔지만, 경제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민주당 내에서 진행한 금투세 관련 토론도 엄청난 관심거리였지 싶다. 구체적인 진영별 논리가 궁금한 사람은 이전 포스팅 참고.

 

 

민주당 금투세 토론 시행 vs 유예, 김영환 의원님 인버스 투자요??

이번주는 중요한 이슈가 많다.민주당이 그렇게 강행을 외치다가 돌연 유예로 돌아서려니명분이 부족해 쇼(?)를 하는 느낌이 강하게 드는 금투세 찬반 토론...개인투자자들의 표심을 잃을까봐 쫄

s1302jj.tistory.com

 

여기서 다룰 건 민주당에서 금투세 시행을 주장할 때, 초고수익을 낸 계좌를 대상으로 한다며 비중이 1% 미만일 것이라고 한 부분인데, 국내 3대 증권사에 따르면 실제로는 10%가 넘는 14%의 계좌가 금투세 대상이 된다고 한다. 업체명은 밝히지 않았지만 아마도 미래에셋, 삼성, KB증권으로 추정된다.

이 14%의 계좌에 들어있는 잔액이 무려 100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되는데, 이 금액이 외부로 이탈하게 되면 증시에 미칠 충격이 꽤나 클 것이다. 올 8월 엔-캐리 트레이드 청산으로 전 세계의 증시가 출렁거렸는데, 그와 비슷한 규모의 자금 이탈이 국장에서만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

거기에다 엔-캐리 트레이드는 시간이 지나면서 환율 시장 등에 따라 다시 자금이 유입될 가능성이라도 있지만, 세금이 싫어 떠난 사람이 무슨 이유로 국장에 들어오려 할까. 안 그래도 선진국 증시에 비해 몸집이 작은 국장이 더 쪼그라들 수 밖에 없다. 금투세 토론에서 유예측이 주장한 논리가 핵심이다. "금투세 도입 이전에 증시 선진화가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

 

 

 


인텔과 보잉, 사라질 위기

한 때 미국의 항공과 반도체 업계를 주름잡던 거대공룡기업인 인텔과 보잉이 나란히 위기에 빠졌다.

인텔은 그동안 PC 시장에서의 압도적인 CPU 지위를 바탕으로 거대 반도체 기업이 되었지만 2010년대에는 모바일 시장, 최근 들어서는 AI 중심의 시장으로 이어지는 흐름을 완전히 놓쳤다. 그 결과 모바일 반도체, AI 반도체 등 주요 반도체 시장에서 입지를 완전히 잃어버렸고 흐름을 타고 급성장한 반도체 기업 퀄컴에게 인수될 수 있는 위기에 처해있다.

보잉 또한 100년 넘는 시간동안 항공업계에서 압도적인 지위를 유지하며 군림했으나 현재는 지속적인 품질 문제와 자랑하던 보잉737 기종의 추락사고가 이어지며 실적이 곤두박질치고 있다. 현실에 안주하여 수익만을 쫓고, 앞서 나가는 흐름을 파악하지 못한 것이 공통점인 듯 하다. 인텔은 CPU에만 의존하며 GPU, AI반도체라는 거대 흐름을 따라가지 못했고 보잉은 수익성 개선을 위해 개선 및 개발에 소홀하여 품질 관리를 철저히 유지하지 못한 것이다.

반면, 퀄컴과 AMD 등의 반도체 기업, 그리고 에어버스나 우버 등의 항공/운송 기업에게는 반사효과를 얻을 수 있는 기회로 작용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관련종목: 인텔, 보잉, 퀄컴, 에어버스, 우버

 

 


드라마 '오징어 게임', 진짜 게임으로도 나온다

넷플릭스가 23일 온,오프라인 팬덤 행사인 '긱드 위크'에서 신규 게임 출시 계획을 발표했는데, 여기서 배우 이정재가 출연하고 한국 드라마의 글로벌화를 알린 '오징어 게임'도 12월 시즌2 공개에 맞춰 멀티플레이어 게임을 출시할 방침이라고 한다.

OTT 최강자인 넷플릭스가 컨텐츠 지식재산권(IP)를 독점적으로 가지기를 원한 이유다. 앞서 언급한 인텔, 보잉과는 사뭇 다르다. OTT 시장에서 나름 독점적인 지위를 유지하고 있는 넷플릭스지만 국내에서는 티빙, 쿠팡 플레이 등 다양한 경쟁 플랫폼들이 나타났고 넷플릭스도 OTT 만으로는 성장하는데 한계가 있다고 판단하고 있는 것 같다. 때문에 독점 보유하고 있는 IP를 활용해 컨텐츠 산업인 게임 산업에 진출하려는 시도로 보인다.

당장 생각해봐도 여러 컨텐츠들이 떠오르는데 개인적으로는 현재 재미있게 보고 있는 '흑백요리사'도 쿠킹 게임으로 출시 가능할 듯 하다. 싱글이든 멀티든 메인으로 제시되는 요리에 따라, 원하는 재료를 선택해 조리한 후, 심사를 통해 계급이 승급되는 방식?

#관련종목: 넷플릭스


국민연금에서 개인연금 운용한다?

처음 기사 제목을 보고 무슨 X소리를....?? 했다. 야당에서 발의해서 더욱 그랬고 심지어 여당에서 동의한다는 분위기가 나와서 더욱 더 이상했다. 그런데 가만히 생각해보니 이런 뚱딴지 같은 소리가 왜 나왔는지 조금 이해가 됐다.

일단, 개인연금의 무려 90%가 원금보장성상품에서 묵혀지고(?) 있다. 은행에 예금으로 맡겨두는 것과 같은 이런 상품은 수익을 내기보다는 원래의 원금을 잃지 않기 위해 맡겨두는 성격이 강한 상품이다. 그럼 왜 원금보장성상품에 이렇게나 많이 묶여있을까? 내가 어린시절 겪은 것 처럼, 90년대 높은 금리와 IMF를 겪으면서 가진 돈을 잃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인식이 오랫동안 지속된 것도 영향이 큰 것 같다.

 

 

그렇다고 이대로 두면, 앞으로의 물가 상승률을 따라잡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금리가 낮기 때문. 복리의 법칙에 따라 일정 수익률을 오랜기간 유지해야 돈의 규모가 불려지는데, 원금보장성상품은 잃지 않는 대신 수익도 낮아 물가 상승에 비해 돈의 가치가 줄어드는 셈. 그래서 디폴트옵션 등 갖가지 방책을 내놓았지만 변화가 없으니 강제로라도 기관의 국민연금을 통해 개인연금을 운용하는 방안을 제시한 듯 하다.

나는 내가 굴리는 걸 좋아해서 이 방법을 반대하는 거지만, 다른 묵혀있는 자산의 활용을 높이고 수익을 낼 수 있다는 면에서는 좋은 방법이 될 수 있겠다 싶다.


항만노조 파업, 공급망 대란 재현?

국내가 금투세, 축협 청문회로 시끄러울 동안, 거시 경제는 '파업 리스크'로 코로나 종식 직후 일어난 공급망 대란의 위기가 고조되고 있다. 당장에 타격은 없을지라도, 2025년 초부터 곡물가 상승 등의 위협 요소가 남아 있어 거시 경제를 낙관적으로 바라보기에는 아직 이를 것 같다는 생각이다.

캐나다는 세계 4위 밀 수출국으로, 조금 있으면 밀 수확기가 되는데 항만 노조의 파업으로 터미널 가동이 중단되면 밀이 수출되지 못할 가능성이 발생하고 미국의 동,남부 지역의 36개의 항만도 항만노조가 계약 갱신 조건에 합의하지 못하면 파업을 계획하고 있다. 미국의 해당 항만은 전체 해상 운송량의 절반을 차지할 정도로 큰 비중이다. 거기에다 후티 반군의 공격이 이어지고 있는 홍해 항로도 여전히 불안한 요소이고, 브라질에서도 가뭄으로 인해 남미의 마데이라강의 수심이 낮아져 항로 운송이 불가능한 상황이라고.

세계 물류의 큰 축을 담당하는 항로 운송이 막히게 되면 해운비용이 크게 상승할 수 밖에 없고, 이는 물가를 자극할 수 있는 원인이 된다. 연준이 9월부터 금리인하를 하기 시작한 시점에서 힘들게 잡아놨던 물가가 다시 상승할 수 있는 우려가 커지고 있는 것이다.


반응형
저작자표시 동일조건 (새창열림)

'경제노트 > 주간 경제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월 2,3주] 주간 경제: 미국 대선 후보별 테마주, 한강 노벨상 수상, 삼성전자 진짜 위기,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휴전 가능성 등  (5) 2024.10.20
[10월 1주] 세계불꽃축제, 고려아연 분쟁 연장전, 미국 9월 고용보고서, 국제유가 불안감 등  (5) 2024.10.04
[9월 3주] 9월 금리인하, 모건의 반도체 때리기, 프로야구 천만관중, 민주당 금투세 공개토론  (6) 2024.09.23
[8월 1주] 경기침체 + 엔화 가치 상승의 시너지 = 검은 월요일  (2) 2024.08.12
[7월 5주] 티메프 사태와 미국 경기침체, 시작된 "공포"  (2) 2024.08.03
'경제노트/주간 경제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 [10월 2,3주] 주간 경제: 미국 대선 후보별 테마주, 한강 노벨상 수상, 삼성전자 진짜 위기,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휴전 가능성 등
  • [10월 1주] 세계불꽃축제, 고려아연 분쟁 연장전, 미국 9월 고용보고서, 국제유가 불안감 등
  • [9월 3주] 9월 금리인하, 모건의 반도체 때리기, 프로야구 천만관중, 민주당 금투세 공개토론
  • [8월 1주] 경기침체 + 엔화 가치 상승의 시너지 = 검은 월요일
한량선비
한량선비
7년차 직장인, 4년차 투자자. 놀면서도 돈 벌고 싶은 한량스러운 선비의 기록모음집
  • 한량선비
    한량선비의 기록
    한량선비
  • 전체
    오늘
    어제
  • 반응형
    • 분류 전체보기
      • 경제노트
        • 경제 정보
        • 주간 경제이슈
      • 투자노트
        • 선비's 칼럼
        • 종목 분석
        • 매매 일지
      • 리뷰노트
        • 책 리뷰
        • 영화 리뷰
      • 건강노트
  •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 링크

    • 한량선비의 naver 블로그
  • 300x250
  • 공지사항

    • [짧 공지] 7월 3주까지는 바빠서 잠시 쉽니다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0
한량선비
[9월 4주] 금투세 토론 후폭풍, 인텔과 보잉 위기, 진짜 '오징어 게임', 국민연금의 개인연금 운용, 항만 파업리스크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