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저축펀드(IRP), 꼭 해야 하는 이유(feat. 복리의 마법)

2023. 2. 6. 21:16·경제노트/경제 정보
반응형

지금 시대는 100세 시대다. 기술이 발달하고, 기대 수명이 늘어나면서 어지간하면 적어도 80세 까지는 건강히 살 수 있는 시대다. ​그만큼 노후대비가 중요한 시대이기도 함. 70세, 80세 될 때까지 일하면서, 그것도 남의 밑에서 월급받아먹으면서 살 수는 없는 일이니까

이번에 포스팅하려는 연금저축펀드도 노후대비를 위한 방법 중 하나다. 개인이 가입할 수 있는 연금으로, 55세 이전에는 중도 인출이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어차피 노후대비를 위한 자금인데 55세 이전에 인출하는 것은 가입하는 의미가 없기 때문에 퇴직연금이나 국민연금만으로는 불안한 사람들이 많이 가입하는 상품이다. 또 연말정산할 때 세액공제를 받기 위해서도 많이 한다. 나 역시 세액공제 혜택을 받기 위해 연금저축펀드에 가입해 일정 금액을 넣고 투자하면서 운용하고 있다.

그런데 연금저축펀드, 그리고 개인형 연금저축펀드인 IRP는 세액공제 혜택도 있지만, 뒤에 후술할 복리 효과 때문에 운용만 잘하면 자산이 몇 배로 불어날 수 있다. 어떻게 해서 이렇게 자산을 불리는게 가능한 걸까?

복리가 무엇이고, 어떤 효과가 있는가?

복리가 무엇인지 간단하게 설명하면, 원금에 이자가 붙고, 그 총액에 다시 이자가 붙는 방식이다. 꾸준하게 넣기만 하면 시간이 지나면서 총 자산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게 된다. 또 이자와 원금의 총액에 이자가 붙는 방식이기 때문에 똑같은 시간이 주어졌음에도 원금이 클수록 복리의 효과는 더욱 더 커지게 된다.

예를 들어서 보자.

A씨가 1000만원을 가지고 있을 때
1) 단리로 5%라면 : 단리는 원금에만 이자가 붙기 때문에, 시간이 얼마나 지나든 원금 1000만원의 5% = 약 50만원의 이자만 매년 받게 된다.
2) 복리로 5%라면 : 처음에는 단리와 같은 50만원을 받지만, 그 후에는 이자와 원금이 붙은 1050만원의 5% = 52.5만원을 받게 되고, 다시 1050+52.5 만원의 5%를 이자로 받게 된다.

이렇게 시간이 흐를수록 복리로 받는 금액은 단리일때보다 엄청나게 많아지게 된다.

그러면, 연금저축펀드와 IRP는 어떻게 해서 자산을 불릴 수 있는걸까? https://ourcalc.com 에서 제공하는 주식 복리 계산기를 이용하면 그 결과를 계산 해볼 수 있다.

최초 원금이 300만원이고, 연 수익률 10%인 ETF에 30년간 투자하기로 마음먹었을 때(위쪽 사진), 매월 50만원 씩 연금저축펀드(IRP)에 꾸준히 투자했다고 치자(아래쪽 사진) 이 계산식의 결과는 놀랍다.

최초 원금 300만원에, 매월 50만원 씩 연 수익률 10%인 ETF에 30년간 투자했을 경우, 총 투자금액은 1억 8천 3백만원인데, 투자 수익률로 얻은 총 자산은 무려 11억 3천만원이 된다! 수익률로 따졌을 경우 520%라는 말도 안되는 수익률을 기록한다. 10%가 복리 이자로 계산되기 때문에 일어나는 결과.

이처럼, 연금저축펀드(IRP)를 잘 활용하면 적은 월급으로도 어지간한 퇴직금은 부럽지 않을 규모의 노후자금을 마련할 수 있으니 안 하는게 더 손해라고 할 수 있다. 개인적으로는 미국 증시에 상장된 ETF를 활용하면 연 수익률 10%는 생각보다 어렵지 않게 달성할 수 있기 때문에(미국 증시가 국내 증시보다 성장할 확률도 크고, 성장률도 높기 때문) 종목만 잘 찾아서 꾸준하게 투자한다면 기적의 수익률과 함께 거금의 퇴직연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반응형
저작자표시 (새창열림)

'경제노트 > 경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 / 어떤 용어이고, 왜 중요한걸까?  (0) 2023.02.09
'윈도우', 미국의 빅테크 거인 마이크로소프트 종목분석 및 전망  (0) 2023.02.08
퇴직연금, 묵혀 두지 말고 ETF에 투자해보자(퇴직연금 ETF 투자)  (0) 2023.02.06
커버드 콜 전략, 콜옵션으로 돈을 번다는데, 어떻게???  (0) 2023.02.03
앙드레 코스톨라니의 달걀모형, 주식 시장을 설명하는 바이블  (0) 2023.02.03
'경제노트/경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 / 어떤 용어이고, 왜 중요한걸까?
  • '윈도우', 미국의 빅테크 거인 마이크로소프트 종목분석 및 전망
  • 퇴직연금, 묵혀 두지 말고 ETF에 투자해보자(퇴직연금 ETF 투자)
  • 커버드 콜 전략, 콜옵션으로 돈을 번다는데, 어떻게???
한량선비
한량선비
7년차 직장인, 4년차 투자자. 놀면서도 돈 벌고 싶은 한량스러운 선비의 기록모음집
  • 한량선비
    한량선비의 기록
    한량선비
  • 전체
    오늘
    어제
  • 반응형
    • 분류 전체보기
      • 경제노트
        • 경제 정보
        • 주간 경제이슈
      • 투자노트
        • 선비's 칼럼
        • 종목 분석
        • 매매 일지
      • 리뷰노트
        • 책 리뷰
        • 영화 리뷰
      • 건강노트
  •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 링크

    • 한량선비의 naver 블로그
  • 300x250
  • 공지사항

    • [짧 공지] 7월 3주까지는 바빠서 잠시 쉽니다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0
한량선비
연금저축펀드(IRP), 꼭 해야 하는 이유(feat. 복리의 마법)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