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 회사에서 퇴직연금 취급은행을 기업은행에서 하나은행으로 바꿨다.
기존에 입금되있던 금액과, 이번에 새로 입금된 퇴직연금 액을 보니 생각보다 꽤 규모가 커서, 이 퇴직연금을 가만히 짱박혀 두기에는 너무 아까운 생각이 들어버림.
마침 투자는 하고 싶었지만 투자할 자금이 없어서 고민하고 있던 터라, 퇴직연금을 활용해서 ETF를 투자하기로 마음 먹었다. 사실 옛날부터도 퇴직연금으로 투자할 생각은 있었지만,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몰라서 그냥 냅둬놨는데.. 이번 기회로 원하는 ETF에 투자를 해보기로 했다.
[퇴직연금 ETF 투자하는 방법]
먼저, 퇴직연금을 운용하는 은행의 앱에 들어가서 [메뉴] --> [상품관리] --> [퇴직연금/IRP]로 들어간다.
들어가면 현재 운용중인 자산 현황이 나오는데, [현재운용상품변경]을 누른다.
현재 상품을 체크하면 사진처럼 '선택한 매도 상품'이 나오는데, 이 상품에 들어가 있는 자산을 매도해서 사려는 상품을 매수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중간에 취소해도 현금으로 인출되는 사태(?)는 일어나지 않으니 걱정 안해도 된다.
보통은 은행 추천에 따라 '정기예금'으로 많이 들어가 있을 건데, 정기예금을 체크한 후 매도할 금액을 설정하면 된다. 전액을 매도 하고싶으면 [전액매도]해도 되고, 일부는 예금, 일부는 투자로 돌리고 싶으면 특정 금액을 입력해서 [일부매도] 하면 된다.
매도까지 끝마쳤으면 이제 매수할 상품을 선택하는 차례다. ETF나 채권, TDF 같은 자산들이 많이 있으니 원하는 걸 찾아서 매수를 하면 된다.
퇴직연금 앱을 처음 운용해보는 사람이라면 [투자성향분석]을 하라는 메세지가 나온다. 주식 투자할때처럼 투자 전 자신의 성향을 분석하는 건데, 나오는 등급에 따라서 등급에 맞는 종목만 추천이 된다. 필자의 경우에는 처음 투자하려던 등급이 '위험 등급'이었는데 투자성향은 '중립'으로 해놔서 무슨 짓을 해도 안 나왔었음...
퇴직연금으로 ETF 등의 자산을 운용할 때 또다른 특징은 '위험자산의 비율이 전체 자산의 70%를 넘지 않도록' 정해져 있다는 것이다. 전체 자산이 500만 원 들어있다고 하면, 이 중 350만 원까지만 위험 등급이 높은 자산에 투자할 수 있다는 것. 또 최근에는 정부에서 퇴직연금 운용 및 수익성을 더 높이기 위해서 '디폴트 옵션'이라는 것을 제공하는데, 디폴트 옵션이란 투자를 하면서 원금을 손실하는 것을 최소화 하고, 투자 종목을 직접 찾는게 어렵거나, 귀찮아서 내버려 두는 사람들의 퇴직연금을 기본적으로 운용할 수 있게끔 만들어둔 제도다.
나는 로봇ETF랑(위험자산) 만기채권형ETF(안전자산)에 각각 투자했고, 미미하긴 해도 달달~한 수익 유지중!
이 글을 읽으시는 분들도 원하는 종목에 투자해서 달달한 수익률로 퇴직연금을 더 든든하게 불려나가기를 바랍니다.
'경제노트 > 경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 미국의 빅테크 거인 마이크로소프트 종목분석 및 전망 (0) | 2023.02.08 |
---|---|
연금저축펀드(IRP), 꼭 해야 하는 이유(feat. 복리의 마법) (0) | 2023.02.06 |
커버드 콜 전략, 콜옵션으로 돈을 번다는데, 어떻게??? (0) | 2023.02.03 |
앙드레 코스톨라니의 달걀모형, 주식 시장을 설명하는 바이블 (0) | 2023.02.03 |
2월 FOMC 결과: 미국 나스닥 증시가 급등한 이유 (0) | 2023.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