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교통 환급해주는 K-PASS 카드 출시! 관련 혜택 알아보기

2024. 5. 1. 08:00·경제노트/경제 정보
반응형

지금은 자차로 이곳저곳을 다니지만, 대학생 때는 대중교통이 없으면 어딘가를 간다는 것 자체가 불가능했다. 대학생 때는 많게는 하루에 5-6번도 지하철을 탔었고, 인천이나 수원, 판교 등 서울 근교로 놀러갈 때는 지하철도 탔고 광역버스도 자주 이용했다. 괜히 서민의 발로 불리는 것이 아닌데, 요즘들어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는 물가로 대중교통 물가도 많이 올랐다. 2010년대 초만해도 자그만 크기의 마을버스는 1,000원 미만이었고, 일반 지하철이나 버스는 기본요금이 1,100원대였던 것 같은데 최근 일이 있어 올라온 서울에서 지하철 기본요금이 1,400원 찍힌걸 보면서 물가가 많이 올랐다는걸 체감했다.

 

이와 관련해 서울에서는 '기후동행카드'라는 것을 발급해 무제한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는 카드를 발급했는데, 정부에서도 국토교통부가 K-패스라는 이름으로 4월 24일 발급을 개시했다. 시내-마을버스, 지하철, 광역버스, GTX 등을 이용할 수 있고 월 15회 이상 이용하면 교통비의 최소 20%를 환급해주는 카드다. 신한,삼성,현대,KB국민,우리,하나,NH농협,비씨,DGB,이동의즐거움 등 10곳의 카드사에서 K-PASS 혜택과 더불어 카드사별로 다른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할인한도, 신청방법

일반인 20%, 청년층 30%, 저소득층 53% 한도로 당월에 지출한 교통비를 다음달에 돌려받을 수 있다. 한도는 연간 720회, 월간 60회 한도로 쓸 수 있다. 하루 2번 이용가능한 셈이니 정기적으로 출퇴근 또는 통학에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사람이라면 유용하게 쓸 수 있다. 환급 한도는 1년에 최대 44만원(저소득층 53% 환급 기준)을 환급해준다. 월 15회 이상 사용해야 되는 조건이 있지만 발급 첫 달에는 해당 조건을 채우지 않아도 된다.

 

다만, 각 카드사에서 K-PASS 카드를 발급받은 뒤, 5월 1일 오늘부터 K-PASS 홈페이지에서 신규 회원가입을 해야만 혜택을 제공받을 수 있다. 기존에 국토교통부에서 발급한 '알뜰교통카드'를 이용하고 있는 사람은 카드를 따로 신청하지 않아도 되고 알뜰교통카드 앱이나 홈페이지에서 회원 전환 절차를 진행하면 동일하게 혜택 적용이 가능하다.

카드사별로도 혜택이 다른데, 대부분이 대중교통 10~15% 할인을 제공하며 신한카드는 간편결제 5% 할인, 삼성카드는 스타벅스 등의 커피 20% 할인, 국민카드는 약국,영화 등 5%할인을 제공한다. 필자의 경우는 간편결제를 자주 이용하기 때문에 신한카드로 발급신청했다.


K-PASS / 기후동행카드 어떤게 더 유리?

앞서 서울시에서는 서울 시내에서 무제한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는 '기후동행카드'를 출시했다. 기후동행카드는 K-PASS처럼 환급해주는 시스템이 아닌, 정액제로 미리 구입해서 사용하는 카드인데, 버스와 지하철을 이용할 때는 6만2천원, 서울시 자전거인 따릉이까지 이용하면 6만5천원이다.

결론적으로는 자신이 서울 안에서 주로 생활을 하고, 월 교통비 7만7천원 미만으로 쓰면 K-PASS가 더 유리하고, 그 이상으로 사용하면 기후동행카드가 더 낫다. 예를들어 월 교통비가 7만원이면 K-PASS는 일반인 기준 20%인 1만4천원을 환급받아 기후동행카드 사용시의 8천원 이익보다 6천원을 더 아낄 수 있는 셈이다. 반면에 월 교통비를 8만원 지출한다면 기후동행카드는 1만8천원 이득이지만 K-PASS는 1만6천원을 환급받을 수 있다.

 

이를보면 서울 내에서 교통을 주로 이용하고, 서울에서 생활을 하는 사람이라면 서울시 전용 카드인 기후동행카드, 그 외에 전국에서 대중교통을 주로 이용하는 사람은 K-PASS를 사용하는 것이 더 유리하다. 국토교통부에서 발급하는 카드이기 때문에 잘만 사용한다면 1년 최대 44만원을 아낄 수 있다는 점은 큰 매력이다.


반응형
저작자표시 (새창열림)

'경제노트 > 경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석연휴 끝나고, IPO 온다! 10월 주요 공모주 일정 (클로봇, 씨메스, 더본코리아, 케이뱅크)  (5) 2024.09.24
티몬-위메프 사태, 무엇이 일을 크게 만들었나  (0) 2024.07.25
파생상품 투자가 어려운 이유(feat. 홍콩 ELS 사태)  (0) 2024.03.13
[경제 이슈] 애플 vs MS, 미국 시총 1위 쟁탈전  (0) 2024.01.18
[경제 이슈]오리온-레고켐 바이오 5,500억 인수  (0) 2024.01.17
'경제노트/경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추석연휴 끝나고, IPO 온다! 10월 주요 공모주 일정 (클로봇, 씨메스, 더본코리아, 케이뱅크)
  • 티몬-위메프 사태, 무엇이 일을 크게 만들었나
  • 파생상품 투자가 어려운 이유(feat. 홍콩 ELS 사태)
  • [경제 이슈] 애플 vs MS, 미국 시총 1위 쟁탈전
한량선비
한량선비
7년차 직장인, 4년차 투자자. 놀면서도 돈 벌고 싶은 한량스러운 선비의 기록모음집
  • 한량선비
    한량선비의 기록
    한량선비
  • 전체
    오늘
    어제
  • 반응형
    • 분류 전체보기
      • 경제노트
        • 경제 정보
        • 주간 경제이슈
      • 투자노트
        • 선비's 칼럼
        • 종목 분석
        • 매매 일지
      • 리뷰노트
        • 책 리뷰
        • 영화 리뷰
      • 건강노트
  •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 링크

    • 한량선비의 naver 블로그
  • 300x250
  • 공지사항

    • [짧 공지] 7월 3주까지는 바빠서 잠시 쉽니다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0
한량선비
대중교통 환급해주는 K-PASS 카드 출시! 관련 혜택 알아보기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