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3주 경제 이슈(증시 하락세, 오리온-레고켐 인수, 애플과 MS의 시총1위 경쟁, 엔비디아 질주 등)

2024. 1. 21. 18:19·경제노트/주간 경제이슈
목차
  1. 증권 시장은 대체로 하락세, 금리인하 기대감이 식었다
  2. 오리온-레고켐 바이오 인수, 국내 제약-바이오 2024년은 밝을까
  3. 애플 vs MS, 비전프로냐 AI냐
  4. 엔비디아, 2024년도 'AI 황태자'
반응형

증권 시장은 대체로 하락세, 금리인하 기대감이 식었다

이번주 국내, 미국  증시는 금요일부터 반등학기는 했지만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면치 못했다. 지난 연말 FOMC에서부터 이어진 금리인하 기대감이 빠르게 식고 있기 때문인데, 이번주 개최된 '다보스포럼'에서 주요 경제인사들은 섣부른 금리인하를 경계하며 매파 스탠스를 강하게 취했다.

거기에 중국 GDP가 예상치를 하회하는 발표를 내놓으며 내수 부진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는 점,  이스라엘-하마스 전쟁과 예멘 후티 반군으로 인한 수에즈 운하 통제 등 지정학적 불안요소가 커지고 있다. 관심에서는 살짝  멀어졌지만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도 여전히 지속중이다.

최근 발표된 미국 경제관련 지표도 제조업 물가지수인 PPI가 하락하고, CPI가 살짝 반등하는 등 섣부른 금리인하는 좋지 않음을 경고하고 있다. 지난 1970년대 비슷한 일로 커다란 교훈을 얻은 Fed가 같은 실수를 하지 않으려는 모습이다. 다보스포럼에 참석한 글로벌 CEO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45%가 올해 경제가 작년보다 안 좋아질 것으로 예상하는 것도 이러한 이유다.


오리온-레고켐 바이오 인수, 국내 제약-바이오 2024년은 밝을까

이번주 바이오 업계에서는 굵직한 통합이 있었다. 초코파이 등으로 잘 알려져 있는 제과기업 오리온 그룹이 바이오 벤처 회사인 레고켐바이오를 5,500억이라는거금으로 인수하기로 한 것인데, 회사의 미래 성장동력으로 바이오를 점찍은 오리온과 최신 바이오 기술인 ADC 신약 개발을 위해 자금이 필요한 레고켐바이오의 이해 관계가 맞아떨어진 결과다. 주식 시장에서는 오리온과 레고켐바이오 모두 하락세를 기록하며 이러한 결정에 의구심을 갖고 있는데, 결국 앞으로의 성과가 얼마나 이뤄지느냐가 중요할 것 같다.

레고켐바이오는 연구개발에 필요한 자금을 확보해 당장은 문제없이 순항할 수 있을것으로 보인다. 살아남기 위해 어쩔 수 없이 기술이전 계약을 결정했다는 대표이사의 인터뷰를 보면, 경영진의 신약개발 의지도 충분한 것으로 보인다. 이제는 임상 등의 기대감이 아닌 실제로 허가까지 이어져 실적으로 연결되야 하는 것이 성장의 갈림길일 것이다.

오리온그룹은 필자의 개인적인 생각으로 3~5년 정도의 장기적인 투자관점으로는 매력이 생길것으로 보인다. 단기적으로는 이러한 결정으로 인해 현금보유량이 줄었고, 제과사업으로 안정적인 영업이익을 유지하던 실적이 나빠질 것인데, 기대한 만큼의 성과를 레고켐바이오가 달성한다면, 최대주주인 오리온그룹의 가치도 같이 올라갈 것이다.


애플 vs MS, 비전프로냐 AI냐

올해 미국 증시의 주요 이슈중 하나는 세계 1등 기업인 "미국 시총 1위 자리를 누가 차지할 것인가"일 것이다. 애플과 MS가 이 자리를 두고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기 때문이다. 2010년대 아이폰 등장 이후로 10년 넘게 왕좌를 차지해온 애플이 조금씩 부진하고 있는 동안, MS는 AI라는 신기술을 미리 선점하고 클라우드 성장에 힘입어 무섭게 치고 올라오고 있다. 

애플은 부진을 만회하기 위한 승부수로 북미에서부터 '비전프로' 사전판매를 시작한다. 가격이 비싸기는 하지만 전에 없던 새로운 제품을 출시하며 애플의 고객들에게 얼마나 새로운 것을 보여줄지가 관건일듯 하다.

MS는 선점한 AI를 수익화한 상품을 출시하기 시작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지속적으로 성장중인 클라우드 시장에서도 더 많은 성장이 있을 것으로 보이고, 애플의 비전프로가 성공적으로 판매가 되면, 그 비전프로를 활용할 '컨텐츠'로 게임 시장에서도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위해 2021년에 액티비전을 인수한 바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 모두 애플과 MS가 올해에도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지만, 시총 1위가 누가 될지는 아무도 모른다. 2024년 미국 증시는 시총 1위자리를 보는 재미도 있을 것이다.


엔비디아, 2024년도 'AI 황태자'

2023년, 오픈 AI의 GPT-3로 촉발된 AI신드롬의 최종 승자는 사실 MS가 아닌 엔비디아였다. 금광을 캐러 가는 사람들에게 청바지를 파는 사람이 가장 많은 득을 본다는 논리로, AI에 필수적인 AI반도체를 독점 공급하는 엔비디아는 2023년 300% 가까운 주가 상승을 이뤄냈다. 불과 1년 전에는 그래픽 카드 수요가 줄 것이라는 예상과 부진으로 주가가 바닥을 찍은 것과 대조적이다.

엔비디아의 질주는 올해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여러 빅테크 기업들이 독자적인 AI 반도체를 개발하겠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AI 반도체에서 GPU의 존재감은 크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메타의 저커버그가 AI 데이터센터 구축을 위해 엔비디아의 반도체 칩을 35만개 구매하기로 했다는 소식이 알려지기도 했다.

미국과 중국의 패권경쟁의 핵심으로 반도체가 떠오르면서 중국에 반도체를 납품하는 엔비디아에게 타격이 있지 않을까라는 우려가 있기도 했지만, 최근 엔비디아는 미국 정부의 규제를 피하는 반도체를 출시함으로써 이러한 우려를 불식시켜 나가고 있다. 이에 주가도 600달러에 근접하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해 나가고 있다. 올해에도 엔비디아의 질주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반응형
저작자표시 동일조건 (새창열림)

'경제노트 > 주간 경제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월 5주 경제: '저PBR주' 강세, FOMC와 빅테크 '슈퍼위크' 결과  (0) 2024.02.04
1월 4주 경제_ 온디바이스 AI 뜨고, 전기차는 졌다(feat. TSLA)  (1) 2024.01.29
1월 2주 경제 이슈(AI 파티장 CES2024, 아세안 수출대금 원화결제, 비트코인 ETF, 한국은행 8연속 금리동결 등)  (1) 2024.01.15
24년 1월 1주 경제이슈(정부 금투세 폐지검토, 태영건설 워크아웃, AI반도체 NPU, 2024년 국내/해외 증시 전망  (1) 2024.01.10
2023년 경제 이슈 총 정리[연말결산 2] 7월 - 12월  (0) 2023.12.31
  1. 증권 시장은 대체로 하락세, 금리인하 기대감이 식었다
  2. 오리온-레고켐 바이오 인수, 국내 제약-바이오 2024년은 밝을까
  3. 애플 vs MS, 비전프로냐 AI냐
  4. 엔비디아, 2024년도 'AI 황태자'
'경제노트/주간 경제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 1월 5주 경제: '저PBR주' 강세, FOMC와 빅테크 '슈퍼위크' 결과
  • 1월 4주 경제_ 온디바이스 AI 뜨고, 전기차는 졌다(feat. TSLA)
  • 1월 2주 경제 이슈(AI 파티장 CES2024, 아세안 수출대금 원화결제, 비트코인 ETF, 한국은행 8연속 금리동결 등)
  • 24년 1월 1주 경제이슈(정부 금투세 폐지검토, 태영건설 워크아웃, AI반도체 NPU, 2024년 국내/해외 증시 전망
한량선비
한량선비
7년차 직장인, 4년차 투자자. 놀면서도 돈 벌고 싶은 한량스러운 선비의 기록모음집
한량선비의 기록7년차 직장인, 4년차 투자자. 놀면서도 돈 벌고 싶은 한량스러운 선비의 기록모음집
  • 한량선비
    한량선비의 기록
    한량선비
  • 전체
    오늘
    어제
  • 반응형
    • 분류 전체보기
      • 경제노트
        • 경제 정보
        • 주간 경제이슈
      • 투자노트
        • 선비's 칼럼
        • 종목 분석
        • 매매 일지
      • 리뷰노트
        • 책 리뷰
        • 영화 리뷰
      • 건강노트
  •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 링크

    • 한량선비의 naver 블로그
  • 300x250
  • 공지사항

    • [짧 공지] 7월 3주까지는 바빠서 잠시 쉽니다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0
한량선비
1월 3주 경제 이슈(증시 하락세, 오리온-레고켐 인수, 애플과 MS의 시총1위 경쟁, 엔비디아 질주 등)

개인정보

  • 티스토리 홈
  • 포럼
  • 로그인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