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년 1월 1주 경제이슈(정부 금투세 폐지검토, 태영건설 워크아웃, AI반도체 NPU, 2024년 국내/해외 증시 전망

2024. 1. 10. 10:56·경제노트/주간 경제이슈
목차
  1. 정부 '금융투자소득세' 폐지 검토, 금투세가 뭐길래?
  2. 태영건설 워크아웃 신청했지만, 오너 살리기 급급한 모습
  3. AI 반도체, GPU에 이어 'NPU' 뜬다
  4. 2024 년 국내, 미국 증시는 어떻게 흘러갈까
반응형

정부 '금융투자소득세' 폐지 검토, 금투세가 뭐길래?

정부에서 금융투자로 얻은 금융투자소득세, 일명 금투세를 폐지하는 것을 검토한다고 발표했다. 금융투자소득세는 '소득이 있는 곳에는 세금이 있다'는 논리로 2020년 문재인 정부 시절 자본시장의 선진화 방안 일환으로 추진, 2023년부터 시행 예정이었으나, 현재 정부에서 2년 유예하기로 한 상태다.

이러한 금투세를 윤석열 정부에서 아예 폐지하겠다고 밝히면서,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해소하기 위한 목적이라고 설명한 반면, 야당에서는 부자 감세, 총선용 포퓰리즘 정책이라며 반대하고 있다. 실제로 금투세는 1년동안 금융투자로 얻은 양도차익이 5천 만원 이내면 세금을 부과하지 않기 때문에 이 세금을 내게 될 사람은 극히 소수의 사람들일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금투세가 도입되게 되면, 현행 증권시장에서 이중 과세가 된다는 문제도 있어 정부의 입장도 틀리진 않다. 우리나라 증권시장에서는 증권거래세라는 것이 이미 도입되어 있어 금투세가 도입되면 투자자 입장에서는 거래세도 내고, 이익이 나면 그에 대한 세금도 부담해야 하는 입장이 된다. 그리고 증권시장의 큰 손인 외국인의 자금 유입 활성화를 통해 20년 째 박스권에서 맴돌고 있는 증권시장이 활성화 된다는 장점도 있다.


태영건설 워크아웃 신청했지만, 오너 살리기 급급한 모습

태영건설 잡음이 끊이지 않은 한 주 였다. 건설업계 16위의 태영건설이 부동산PF 자금을 해결하는데 어려움을 겪으면서 채권단에 워크아웃을 신청했지만, 자구안으로 내놓은 자금 대부분이 오너 일가의 지분을 유지하는데 사용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채권단의 분노를 샀다. 일각에서는 태영그룹의 알짜 계열사만 넘기고 자신들의 아픈 손가락이었던 태영 건설을 이 기회에 버리려는 것 아니냐는 의심까지 들고 있다.

금감원장과 산업은행장 등 채권단은 "자기 뼈를 깎는 노력이 아니라 남의 뼈를 깎았다"며 강도 높은 자구안을 다시 제출할 것을 지난 금요일에 요구했는데, 01월 10일 현재는 알짜 계열사인 SBS의 오너 지분 일부를 내놓기로 하는 등 채권단의 요구를 수용해 워크아웃을 개시할 것으로 보인다.


AI 반도체, GPU에 이어 'NPU' 뜬다

9일부터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2024에서 최대의 화두는 '디바이스 온 AI' 라고 한다. 디지털 장비가 인터넷 연결없이 스스로 AI기능을 구현하는 것이 핵심 기능인데, 이를 위한 AI반도체로 NPU가 떠오르고 있다. 사람의 인공신경망(Network)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반도체 칩이라서 NPU라고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반응형

그동안의 AI 반도체는 엔비디아의 GPU가 독점하다시피 하고 있었는데, 이는 AI의 대용량 학습을 위한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를 구축하는데 GPU가 유리했기 때문이다. 한 번에 수많은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칩의 크기가 크고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어 스마트폰 같은 소형 전자기기에는 적용할 수 없다. 이러한 점 때문에 세계의 빅테크 AI 기업들은 독자적인 NPU를 개발해 자신들만의 전자기기가 클라우드같은 인터넷 접속 없이 스스로 AI를 구동할 수 있는 생태계를 만들려고 하고 있다.

우리나라 기업 중에는 삼성전자와 LG전자가 NPU를 개발하고 있고, 미국의 구글,애플,아마존,테슬라 등 빅테크 기업들도 자사의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한 NPU를 개발하는 중이다. 작년이 GPU가 평정한 AI반도체였다면, 올해는 NPU가 새롭게 떠오르는 시장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2024 년 국내, 미국 증시는 어떻게 흘러갈까

미국 매그니피센트7가 이끄는 대형 성장주의 인기는 여전할 것으로 보인다. AI와 로봇 등 미래기술에 대한 수요와 인기는 건재하고, 2024년에는 23년의 투자가 성과를 보이기 시작해 수익성을 보이기 시작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한다. 2023년에 이어 2024년에도 빅테크 기업들의 실적은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2024년 국내 증시는 터널을 벗어나 성장하는 기회가 될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전망이 많았다. 특히 반도체 부분에서 D램 가격이 상승하기 시작하는 등, 반도체 사이클이 돌아와 호황으로 돌아설 것이라는 전망이 많았다. 그 외에 바이오 업종도 기업들의 기술 수출 호재와 금리 인하 기대가 맞물려 큰 관심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한다.


반응형
저작자표시 동일조건 (새창열림)

'경제노트 > 주간 경제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월 3주 경제 이슈(증시 하락세, 오리온-레고켐 인수, 애플과 MS의 시총1위 경쟁, 엔비디아 질주 등)  (0) 2024.01.21
1월 2주 경제 이슈(AI 파티장 CES2024, 아세안 수출대금 원화결제, 비트코인 ETF, 한국은행 8연속 금리동결 등)  (1) 2024.01.15
2023년 경제 이슈 총 정리[연말결산 2] 7월 - 12월  (0) 2023.12.31
12월 3주 경제이슈(2040년 대한민국 역성장, 대주주 양도세 완화, 트럼프 판결과 대선영향 등)  (2) 2023.12.27
2023년 경제 이슈 총 정리[연말결산 1편] 1월 - 6월  (1) 2023.12.25
  1. 정부 '금융투자소득세' 폐지 검토, 금투세가 뭐길래?
  2. 태영건설 워크아웃 신청했지만, 오너 살리기 급급한 모습
  3. AI 반도체, GPU에 이어 'NPU' 뜬다
  4. 2024 년 국내, 미국 증시는 어떻게 흘러갈까
'경제노트/주간 경제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 1월 3주 경제 이슈(증시 하락세, 오리온-레고켐 인수, 애플과 MS의 시총1위 경쟁, 엔비디아 질주 등)
  • 1월 2주 경제 이슈(AI 파티장 CES2024, 아세안 수출대금 원화결제, 비트코인 ETF, 한국은행 8연속 금리동결 등)
  • 2023년 경제 이슈 총 정리[연말결산 2] 7월 - 12월
  • 12월 3주 경제이슈(2040년 대한민국 역성장, 대주주 양도세 완화, 트럼프 판결과 대선영향 등)
한량선비
한량선비
7년차 직장인, 4년차 투자자. 놀면서도 돈 벌고 싶은 한량스러운 선비의 기록모음집
  • 한량선비
    한량선비의 기록
    한량선비
  • 전체
    오늘
    어제
  • 반응형
    • 분류 전체보기
      • 경제노트
        • 경제 정보
        • 주간 경제이슈
      • 투자노트
        • 선비's 칼럼
        • 종목 분석
        • 매매 일지
      • 리뷰노트
        • 책 리뷰
        • 영화 리뷰
      • 건강노트
  •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 링크

    • 한량선비의 naver 블로그
  • 300x250
  • 공지사항

    • [짧 공지] 7월 3주까지는 바빠서 잠시 쉽니다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0
한량선비
24년 1월 1주 경제이슈(정부 금투세 폐지검토, 태영건설 워크아웃, AI반도체 NPU, 2024년 국내/해외 증시 전망

개인정보

  • 티스토리 홈
  • 포럼
  • 로그인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